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KDDF "혁신신약 후보 직접 발굴..기술이전 협상도 대행"

입력 2017-03-27 13:42 수정 2017-03-27 15:30

바이오스펙테이터 장종원 기자

김태억 사업개발본부장, "브리지 프로그램 올해 시작"..데이터베이스도 구축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의 관심은 오로지 글로벌 기술이전(라이센싱 아웃)에 맞춰져 있다. 지난해 연말 사업단을 맡은 묵현상 단장의 취임 일성 역시 "10건 이상의 글로벌 라이센싱 아웃 성과목표를 달성하겠다"였다. 1, 2기 사업단이 국내 신약개발 역량 강화에 힘썼다면 3기는 글로벌 기술이전으로 성과를 내야 할 위치에 섰다. 2020년 9년간의 활동을 마무리하는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Next' 역시 여기에 달렸다.

KDDF에서 기술이전 업무를 총괄하는 김태억 사업개발본부장은 최근 바이오스펙테이터와 만난 자리에서 "사업단 과제 전체의 기술가치, 기술이전 시점 등을 평가해 조기에 사업화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면서 "KDDF가 다년간 구축한 네트워크, 지식정보 자산을 이용해 주요 제약사뿐 아니라 바이오벤처, 대학, 연구소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영국 리즈대학에서 기술경제학을 전공했으며 10여년 이상 기술사업화 및 제약기업 라이센싱 컨설팅 서비스 분야에서 근무하다 2015년 사업단에 합류했다.

김 본부장이 공을 들이는 프로젝트는 올해 새롭게 시작할 '브리지(혁신 후보물질 발굴) 프로그램'이다. 제안받은 기술들을 평가해 지원하고 관리하는 역할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개발한 혁신적인(novel)한 후보물질을 직접 발굴, 지원해 기술이전을 돕는 프로젝트다. 그는 "최근 국내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세상을 놀라게 할 만한 노블한 물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면서 "3~4년에 기술이전이 가능한 후보물질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 보건산업진흥원, 산업진흥평가원, 연구성과 실용화진흥원 등과도 제도적 차원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며 물질개발을 위해서는 첨단복합단지 신약개발센터, 복지부의 유효성평가센터 등과 협력할 계획이다.

'기술신탁'을 통해 기술이전 협상에 직접 나서겠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자체 기술이전 협상 역량이 없는 바이오벤처, 대학, 연구소로부터 기술을 포괄 위임(신탁)받아 기술이전 협상을 대행하겠다는 것. 그는 "개별 연구소나 대학보다는 KDDF라는 브랜드로 나서는 것이 빅파마들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측면이 있다. 기술수요자도 보호 가능하다"면서 "법률적 문제 등을 검토해 올해 안에 사업을 시작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KDDF는 지금까지 400여건의 국내 신약개발 과제를 검토해 110여건을 지원했다. 국내 유망한 신약후보물질 상당수가 이 곳을 거쳐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KDDF는 지금까지 지원한 과제에 대한 경쟁약물 현황, 시장 동향, 국내외 임상승인 정보 및 규제 환경 등을 모두 종합한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고 있다. "신약개발 시험을 잘 치르기 위한 일종의 출제 경향을 미리 알려주겠다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공개 가능한 범위에서 신약개발자들이 참고하도록 공개할 계획이다.

◇2020년대 해외 직접 진출의 시대..메가기업·펀드 육성해야

김 본부장이 바라본 국내 신약개발의 성공 열쇠는 무엇일까?

그는 먼저 KDDF에서 많은 과제를 접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Target Product Profile·TPP'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좋은 후보물질을 갖고 있음에도 전략적 개발 전략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는 "개발시점부터 비지니스모델 선정, 임상시험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이것만 잘해도 승률이 10% 이상 올라간다"고 강조했다.

인력측면에서는 해외업체와 기술수출 업무를 진행할 BD(Business Deverloper)가 턱없이 부족하다. 김 본부장은 "10여년 전에는 영업 출신이, 최근에는 연구소 출신이 제약사의 대표를 맡고 있지만 앞으로는 BD가 핵심 경영진이 되는 시대가 올 것"이라면서 "그럼에도 일부 다국적제약회사를 제외하고는 국내에는 전문가의 숫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말했다. KDDF는 'Global Business Development Forum'를 개최하는 등 국내 BD들과의 네트워킹을 활성화하고 BD의 역량도 강화할 계획이다.

바이오산업이 성장하려면 민간 투자 활성화도 필연적인데 이를 도울 지식정보시스템도 필요하다. 그는 "결국 국내는 증시에서 답을 찾을 수밖에 없는데 돈이 가야할 곳에 갈 수 있도록 하는 지식과 정보가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시킹알파(Seeking Alpha), 포브스(Forbes)지의 전문가 칼럼, 엔드포인트(Endpoints) 등과 같은 전문가 매체, 그룹이 활성화돼야 한다.

김 본부장은 마지막으로 "국내 바이오제약산업은 2000년대는 개량신약의 시대, 2010년대는 라이센싱의 시대였다"면서 "2020년대는 해외 직접 진출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기업이 기술이전에 머무르지 않고 직접 임상 3상을 마치고 직접 판매하는 시대를 예측한 것이다.

1위 제약기업의 매출이 1조원 수준에 불과한 지금과 같은 산업 구조로는 불가능한 이야기. 김 본부장은 따라서 "컨소시엄 형식으로라도 해외시장 진출, 해외 임상 3상 및 영업까지 담당할 큰 규모의 회사 형태가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메가(Mega) 기업'이다.

김 본부장은 "바이오 생태계의 완성은 '거대기업'"이라면서 "정부, 민간 벤처 들이 모두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거대기업이 존재해야만 IPO중심의 제약바이오 생태계도 M&A 중심의 생태계로 변화할 수 있다.

메가펀드 조성 역시 필요하다. 신약개발은 투자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펀드의 규모가 클 수록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다.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MIT) 금융공학연구소는 지난해 항암제 개발을 위해 5~15조원 규모의 메가펀드를 구성하기로 했다. 영국 런던시는 2015년 100억파운드(약 14조원) 규모의 메가펀드 조성을 선언했다.

김 본부장은 "메가기업과 메가펀드가 국내 바이오산업을 한단계 도약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 "KDDF도 힘을 보태고 싶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