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2025년까지 일자리 7.5만명 글로벌신약 22개 신규 발굴

입력 2017-11-15 16:12 수정 2017-11-15 16:12

바이오스펙테이터 천승현 기자

정부, 제약산업 육성·지원 2차 종합계획 로드맵 소개..신약개발 R&Dㆍ세제 지원 확대 등 추진

정부가 내년부터 2025년까지 제약산업 신규 일자리 7만5000명과 글로벌신약 22개를 발굴하겠다는 목표로 중장기 제약산업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첨단 바이오의약품과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하고 제약기업들의 해외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이 마련될 예정이다.

정부는 15일 서울 강남구 라마다서울호텔에서 ‘2017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 공청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제약산업 지원 정책을 소개했다.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은 지난 2011년 제정된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근거로 매 5년마다 수립하는 정책이다.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1자 종합계획이 종료되며 정부는 내년부터 2022년까지 운영할 2차 종합계획을 마련 중이다. 이날 공청회는 2차 계획을 확정하기 전에 주요 목표를 공유하고 업계의 목소리를 수렴하기 위해 진행됐다.

▲15일 서울 강남구 라마다서울호텔에서 ‘2017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 공청회’에서 김주영 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장이 2자 종합계획의 로드맵을 소개하고 있다.

정부는 2차 종합계획의 비전을 ‘국민에게 건강과 일자리를 드리는 제약 강국으로 도약’이라고 설정했다. 제약산업 일자리 창출과 글로벌 신약개발 성과를 핵심 비전으로 제시했다.

오는 2025년까지 제약산업 일자리 17만명과 글로벌 신약개발 성과 25개 발굴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겠다는 구상이다. 2016년 기준 정부가 추산한 제약산업 일자리는 9만5000명, 글로벌 신약개발 성과는 3개다. 내년부터 8년 내 7만5000명의 일자리와 22개의 글로벌 신약을 추가로 도출하겠다는 목표다.

정부는 R&D, 인력양성, 수출지원, 제도개선 등 4개 분야에서 총 12개의 추진전략을 마련한다.

우선 R&D의 경우 4차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차세대 미래 유망 분야 육성을 위해 첨단바이오의약품 R&D 지원 확대, AI를 활용한 신약 R&D, 스마트제조공정을 위한 기반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한다.

오픈이노베이션 기반 신약 R&D를 지원하고, 첨단의료복합단지의 R&D 지원 기능을 강화해 신약개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지원 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희귀·난치질환 치료제와 감염병치료제 개발을 위한 R&D를 확대하고 공익 목적의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 지원을 강화하는 등 공익 목적의 R&D 투자를 늘릴 방침이다.

인력양성 부문에서는 제약산업 상용화·제품화 전문인력 양성과 임상시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력 양성 강화 정책을 추진한다. 제약바이오 기술창업·사업화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창업기업에 대한 오픈이노베이션 지원을 통해 창업 활성화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제약기업들의 수출 지원체계도 강화된다. 정부는 제약산업 글로벌정보센터 운영 등 해외 진출 플랫폼을 구축하고 시설 고도화와 cGMP 투자를 늘려 제약사들의 수출 역량 향상을 유도하겠다는 목표다. 제약산업 글로벌 컨설팅 지원, 해외 협력사 파트너링 강화, 해외거점설립 지원 정책 등도 추진 정책에 포함된다.

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제도 개선도 추진된다. 제약바이오 투자 활성화를 위한 펀드를 조성하고 민간 R&D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세제 혜택도 확대될 전망이다. 첨단 바이오의약품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의약품 건강보험 등재 제도도 보완된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임상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혁신형제약기업 인증기준 등의 개선 정책도 마련될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1차 종합계획이 시행된 지난 5년(2013~2017년) 동안 총 1조9310억원이 투자됐다고 밝혔다. 부처별로는 보건복지부가 가장 많은 1조3145억원을 투자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각각 3710억원, 2185억원을 제약산업 육성 지원을 위해 사용했다.

R&D 지원에 전체 지원금액의 62.1%인 1조2003억원이 사용됐고 인프라 지원에 5950억원이 투입됐다. 투자와 융자에 700억원, 인력양성에 575억원이 지원된 것으로 정부는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