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루닛의 ‘확장’, ‘TIL 바이오마커’ PD-1시장 침투전략은

입력 2022-08-09 10:53 수정 2022-08-17 10:41

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이 기사는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BioS+' 기사입니다.
병리조직 기반 AI 바이오마커 개발, 면역항암제→표적항암제 플랫폼으로의 확장..글로벌 상업화 파트너사 가던트헬스와 진행 현황은?..단기 마일스톤과 중장기 비전은?

▲옥찬영 루닛 종양학부문 최고의학책임자(CMO) 인터뷰 진행 현장

글로벌 의료 인공지능(AI) 진단회사로 기반을 다진 루닛(Lunit)이 이번엔 암조직에서 종양침투림프구(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TIL)를 정량하는 새로운 AI 바이오마커로 면역관문억제제를 처방받지 못하는 50%의 시장을 침투하기 위해 나선다. PD-1, PD-L1 면역관문억제제 개발 경쟁은 현재 진행형이다. 면역관문억제제가 첫 출시되고 8년만에 전체 암종의 약 절반에 걸쳐 처방되고 있지만, 면역관문억제제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환자도 여전히 절반이다.

루닛이 내세우는 키워드는 병리조직내(환자의 암 조직) 약물반응을 예측하는 AI 바이오마커다. 아직까지 치료제 분야에서 AI 바이오마커는 없는 개념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쉽다. 전세계 탑 의약품이자 면역관문억제제 시장에서 후발주자와 큰 격차를 벌리고 있는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 개발사인 미국 머크(MSD)는 바이오마커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빅파마 중 하나다. 바이오마커를 기준으로 본다면 키트루다는 크게 5개 PD-L1 양성 고형암종에서 처방된다. 여기서 한발짝 더 나아가 키트루다는 암종과 상관없이 MSI-H/dMMR(2017년 허가) 또는 종양변이부담(TMB, 2020년 허가)이라는 2가지 바이오마커 모두로 처방될 수 있는 유일한 면역항암제이다.

루닛이 벤치마킹하는 전략은 궁극적으로 암종과 상관없이 AI로 암조직내 ‘면역활성 표현형(inflamed immune phenotype, IIP)’ 바이오마커를 기반으로 면역항암제를 처방할 수 있는 환자를 찾겠다는 것이다. 동반진단(companion diagnostics, CDx) 개념의 AI 바이오마커이다. 그런 면에서 올해는 루닛이 기존의 '영상진단에서 치료제진단 분야로' 넓혀가는데 중요한 해이기도 하다.

그 시작점으로 루닛은 올해 저널오브클리니컬 온콜로지(JCO, IF=44.54)에 AI 바이오마커가 PD-L1 발현과 상관없이 폐암에서 면역관문억제제의 반응률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서의 가능성을 발표했다. 이어 6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에서 IIP 바이오마커가 폐암을 넘어 16개 암종까지 면역관문억제제 약물반응을 예측할 수 있다는 초기 연구결과를 내놨다....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BioS+'는 독자들에게 가치(value)있는 기사를 제공합니다.
추가내용은 유료회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시면 로그인 해주시고, 회원가입을 원하시면 클릭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