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SK바이오팜, AI/DT TF장에 ‘신봉근 박사’ 영입

입력 2024-06-28 09:26 수정 2024-06-28 09:26

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고도화, 디지털헬스케어 사업 담당

▲신봉근 박사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은 신임 인공지능/디지털트렌스포메이션(AI/DT) 추진 태스크포스(Task Force, TF) 장으로 신봉근 박사를 영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신 박사는 카이스트와 미국 에모리대에서 전자공학 및 컴퓨터사이언스 석사 과정을 거쳐, ‘딥러닝 접근을 통한 신약개발’에 대한 논문으로 에모리대 컴퓨터 과학(Computer Science)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핀테크와 AI 분야에서 개발 및 연구성과를 쌓아 왔으며, AI 기반의 신약개발 회사인 디어젠을 공동창업해 AI총괄인 CAIO(Chief AI Officer)와 미국법인 CEO를 맡았다.

신 박사는 SK바이오팜의 종합 AI 로드맵을 구축하고, AI 기반의 신약 개발을 포함하는 연구&개발 디지털화(R&D Digitalization)와 디지털 헬스케어(Digital Healthcare) 사업을 담당할 예정이다.

SK바이오팜은 크게 2개 분야에서 회사가 보유한 역량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것을 추진해 왔다.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은 "알려진 것보다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AI 기술의 활용을 고민해 왔다”며 “신봉근 박사의 차별적 역량과 경험을 기반으로 당사의 기존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을 고도화 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에서도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첫 번째는 AI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 신약개발이다.

SK바이오팜은 2개의 FDA 승인 신약을 개발한 30년 이상의 노하우와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난 2018년부터 AI 기반 약물 설계 플랫폼인 ‘HUBLE(허블)’을 구축해 초기 연구개발에 활용해 왔으며, 이를 신규 모달리티(Modality)인 표적단백질분해기술(TPD), 방사성 의약품 치료제(RPT)에 적용하는 업그레이드 버전 ‘허블 플러스’를 준비하고 있다.

두 번째는 뇌전증 환자의 발작을 실시간 감지하고 예측, 대응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의 개발이다.

SK바이오팜은 뇌전증 혁신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판매 브랜드명: XCOPRI®)’를 개발해 판매하고 있으며, 약물 치료를 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실시간 발작 감지와 기록, 보호자에의 알람, 나아가 뇌파 등 환자의 생체 신호와 AI 기술을 접목해 발작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약물 투여나 안전한 장소로의 이동 등 사전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신봉근 박사는 "AI 기술이 신약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또한 환자들의 삶의 질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며 "이러한 꿈을 실현하는 데 있어 SK바이오팜의 신약개발 성공 경험과 글로벌 뇌전증 치료제 시장에서의 강력한 입지가 그 무엇보다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