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사렙타, Hansa 'AAV 중화항체 극복약물' 라이선스딜

입력 2020-07-06 13:48 수정 2020-07-06 16:04

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이 기사는 '유료 뉴스서비스 BioS+' 기사입니다.
사렙타, DMD 및 LGMD AAVrh74 유전자치료제 '중화항체有 환자 확대' 위해 균에서 유래한 IgG 분해 '임리피다제' 전처리 투여 권리 확보...한사 지난달 Nature Medicine 비임상 모델서 PoC 밝힌 연구결과 게재

유전자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독특한 접근법에 대한 딜이 나와 주목된다. AAV(adeno-associated virus) 유전자 치료제의 투여 대상을 좁히는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환자가 체내 AAV에 대한 중화항체(neutralizing antibody, NAb)를 갖고 있어, 약물이 효능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다. 중화항체가 있으면 AAV를 전신투여해도 표적 조직에 도달하기 전에 제거되고 만다. 또한 중화항체 형성은 AAV 치료제를 재투여(re-dosing)를 어렵게해, 단일투여로 제한하는 요소로도 꼽힌다.

기존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면역을 억제하거나 중화항체를 제거하는 혈장분리교환술(plasmapheresis), 투여경로 변경 등 접근법과 나아가 AAV에 면역을 회피하는 껍데기를 씌우거나 비바이어러스(non-viral) 벡터를 이용하는 등의 접근법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뚜렷한 해결책은 없다.

희귀질환 유전자치료제 분야의 선두그룹인 사렙타 테라퓨틱스(Sarepta Therapeutics)는 한사 바이오파마(Hansa Biopharma)가 가진 임리피다제(imlifidase)를, 회사의 뒤센근위축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과 사지연결근위축증(limb-girdle muscular dystrophy, LGMD) 적응증에서 AAV 유전자 치료제의 전처리 요법(pre-treatment)으로 개발하는 전세계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일 밝혔다.

더그 인그램(Doug Ingram) 사렙타 대표는 “현재 유전자 치료제의 중요한 한계 중 하나는 AAV 벡터에 대한 중화항체를 갖고 있는 환자를 치료할 수 없다는 점이다. 우리의 AAVrh74 벡터는 중화항체 빈도가 낮은 것을 스키리닝한 것이지만, 우리의 미션을 이루기 위해 충분치 않다”며 “비임상 및 임상 모델에서 한사의 기술은 AAV 유전자 치료제를 투여를 억제하는 IgG 항체를 제거하는 능력을 보여줬으며, 성공할 경우 우리의 유전자 치료제가 더 많은 DMD, LGMD 환자에게 확장할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의미를 밝혔다.... <계속>

추가내용은 유료회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시면 로그인 해주시고, 회원가입을 원하시면 클릭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