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한국, 민관 혁신신약개발 네크워크 'IMI'에 참여하자"

입력 2017-10-10 09:18 수정 2017-10-10 09:18

바이오스펙테이터 장종원 기자

채수찬 KAIST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정책센터장 제안.."글로벌파마 역량 활용해야"

▲채수찬 카이스트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정책센터장.

▲채수찬 카이스트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정책센터장.

국내 바이오헬스케어, 신약개발 산업의 질적, 양적 성장을 위한 새로운 제안이 나왔다. 유럽의 민관협력 혁신신약개발 네트워크인 IMI(Innovative Medicines Initative) 같은 오픈이노베이션 기반 글로벌 연구개발 협력체에 참여해 국내 산업의 역량 강화의 기회로 삼자는 것이다.

채수찬 KAIST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정책센터장(기술경영학부 교수)은 최근 바이오스펙테이터와의 만난 자리에서 "국내는 기초에서 시작해 임상을 거쳐 신약개발 성공까지를 아우르는 경험과 역량이 부족한 상황"이라면서 "정부 주도로 IMI 같은 글로벌 연구개발 협력체에 참여해 글로벌파마의 역량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IMI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와 유럽의약품산업협회(EFPIA)의 회원사들이 공동으로 현금, 현물을 출자해, 민간기업 단독으로 개발하기 힘드나 사회적으로 필요로 하는 분야(unmet medical or social need)의 신약 연구개발을 하는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세계최대 민관협력 파트너십(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으로 협력연구 생태계의 성공모델로 주목받는다. 현재 정신질환, 항생제 내성, 전염병, 의료서비스 효율화 등과 관련된 50여개 프로젝트를 EU 회원국들의 제약사, 벤처, 공공연구기관, 환자협회, 규제기관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 다기관 네트워크 체제로 진행 중이다. 프로젝트 참여인원만 6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채 센터장의 제안은 국내 역시 정부 주도로 IMI에 참여해 초기 연구단계부터 글로벌 빅파마, 해외규제기관, 환자조직과 직접협력의 접점을 늘려 신약후보물질 기술이전의 위험성을 줄이고, 신약개발의 글로벌 성공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KIMI 모델 구축에 대한 고민도 있었지만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유럽 IMI에 참여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면서 "IMI에 가입한 EU 비가입국 스위스의 전례도 있어 국내 참여의 길도 열려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채 센터장과 혁신정책센터가 주목한 IMI 프로그램은 2가지다. 그람음성 수퍼박테리아 퇴치를 위한 치료제 개발 프로그램(ENABLE), 병원 진료데이터를 신약 임상개발에 적용, 신약개발의 정밀화, 효율화를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EHR4CR). ENABLE은 GSK와 사노피아벤티스, 스웨덴 웁살라 대학(University of Uppsala)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그람음성 수퍼박테리아 퇴치를 위한 항생제 개발 및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EHR4CR은 유럽의 병원 데이터 표준화, 가공 및 교류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신약개발의 병목 현상이 극심한 임상시험 특히 환자 모집 단계의 어려움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한국 역시 일부 투자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에 참여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채 센터장은 "기초과학기술이 상업화 시장, 니즈(needs)가 어우러져 있는 것이 IMI여서 과학사업화 경험과 전략이 부족한 우리에게는 (IMI 참여가)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 "정부에 제안해 이를 현실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KAIST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정책센터는 한국형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전략을 구상하고 실제 지원하는 전략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2014년 설립된 연구기관(보건복지부 과제)이다. 바이오헬스케어 정책을 제안하고, 혁신생태계 조성과 국제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채 센터장은 "국내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생태계는 정부 모태펀드와 연구개발비 지원강화 등으로 스타트업 창업이 늘어나는 등 활성화되고 있으나 단기투자지원을 통한 연구개발 성과 요구와 실패를 수용할 수 있는 제도적 유연성이 부족해 10년 이상의 장기 연구개발기간과 높은 실패위험성을 가진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의 과학상업화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혁신정책센터를 통해 바이오헬스케어 정책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우수한 기술을 발굴해 사업화(펀딩)을 지원하며 구축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바이오헬스케어 기업들의 글로벌 기술이전, M&A도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