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인간서열 CD19 CAR-T "신경독성 부작용 해결 가능성"

입력 2018-12-06 07:34 수정 2018-12-07 10:40

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이 기사는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BioS+' 기사입니다.
시판 CD19 CAR-T 포함해 주노, 셀진-블루버드, 지오팜 등 쥐 scFv CD19 서열 FMC63 이용, 연구팀 인간서열 Hu19 이용해 차별화 "ORR, CR 비슷하 결과...신경 독성 55% vs 5% 획기적으로 줄여"

CAR-T 치료제의 독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접근법을 보여주는 임상결과가 발표됐다. 기존에 CD19 암 항원을 인지하기 위해 사용했던 CAR의 쥐(murine) 서열을 인간 서열로 바꿨더니, 단 5% 환자에게서만 신경 독성이 발생했다.

▲제임스 코첸더퍼(James Kochenderfer) 미국 암연구소(NCI) 임상의, ASH 홈페이지 겔러리

제임스 코첸더퍼(James Kochenderfer) 미국 암연구소(NCI) 임상의는 미국 혈액암학회(ASH) 2018에서 '림포마에서 항암 활성을 유지하면서 신경 독성을 줄인 신규 CD19 CAR-T 임상 1상 결과(Low levels of neurologic toxicity with retained anti-lymphoma activity in a Phase I clinical trial of T cells expressing a novel anti-CD19 chimeric antigen receptor)'라는 제목으로 지난 3일 이와 같은 내용을 구두 발표했다.

CD19 CAR-T는 우수한 효능으로 치료제가 없는 악성 B세포 림프종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꿨지만, 여전히 개선되여야할 부분이 있었다. 가장 큰 이슈는 약물 독성이다. 환자에게 CD19 CAR-T를 주입한 후 사이토카인 신드롬(CRS)과 신경 독성(neurological toxicity)이 문제가 되고 있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 메커니즘을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CAR-T세포가 활성화되면서 사이토카인이나 면역 단백질 분비가 늘어난 현상이 보였다.

CAR 구조는 세포 밖에서 암 항원을 인지하는 도메인이 있고, 힌지(hinge)와 세포막도메인(TM)을 통해 세포 안의 T세포 시그널링 파트로 이어진다. 임상에서 연구팀은 항원을 인식하는 scFv를 포함해 CAR 구조를 바꾼 약물을 테스트했다....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BioS+'는 독자들에게 가치(value)있는 기사를 제공합니다.
추가내용은 유료회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시면 로그인 해주시고, 회원가입을 원하시면 클릭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