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버브, 후속 'PCSK9 염기편집' 부작용 극복 "1b상 결과"

입력 2025-04-16 10:38 수정 2025-04-16 10:38

바이오스펙테이터 정지윤 기자

이 기사는 '유료 뉴스서비스 BioS+' 기사입니다.
"작년 임상중단" in vivo 염기편집 후속 에셋, 부작용 원인 LNP 변경..심혈관질환 1b상서 간독성 등 없어 “부작용 해결 가능성”..LDL-C 53% 감소 "긍정적 효능"..옵션권리 보유 릴리 “매우 고무적” 평가

버브, 후속 'PCSK9 염기편집' 부작용 극복 "1b상 결과"

버브 테라퓨틱스(Verve Therapeutics)가 지질나노입자(LNP)에 따른 부작용으로 임상개발을 중단했던 PCSK9 염기편집(base-editing) 후속 프로그램에서 안전성 이슈에서 벗어날 수 있는 초기 임상 데이터를 얻었다.

이같은 결과를 내놓은 ‘VERVE-102’는 LNP 부작용으로 개발을 중단했던 ‘VERVE-101’의 후속 in vivo 염기편집 약물로, 기존 LNP 대신 노바티스(Novartis)에서 라이선스인(L/I)한 이온화지질(ionizable lipid)을 이용해 개발한 간세포 GalNAc 타깃의 LNP가 적용됐다. 기존의 염기편집 도구 발현 mRNA, PCSK9 타깃을 위한 가이드RNA(gRNA) 등은 동일하게 디자인됐다.

버브는 지난해 발표한 VERVE-101의 임상1b상 결과에서 3등급 간효소(ALT) 증가, 혈소판감소증(thrombocytopenia) 등의 부작용이 발생해 임상을 중단했다. 당시에도 LDL-C 감소 등 효능을 확인했던 만큼 이번 VERVE-102의 임상에서는 안전성 확인이 관건이었다.

버브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심혈관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VERVE-102의 임상1b상에서 28일동안 추적관찰한 결과 심각한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간효소 수치, 빌리루빈, 혈소판 등에서도 임상적으로 유의미한(clinically significant) 변화는 없었다. VERVE-102의 주요 효능지표인 평균 LDL-C 수치는 53% 감소해 효능에서도 긍정적인 결과였다.... <계속>

추가내용은 유료회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시면 로그인 해주시고, 회원가입을 원하시면 클릭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