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美 농무부 "CRISPR 육종개발 식물, 규제 안한다"

입력 2018-03-30 13:44 수정 2018-03-30 13:44

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USDA, "농업분야 혁신 허용하겠다"..CRISPR 등 유전자편집 통한 식물육종 허용

농업산업에 새로운 장이 열린다. 미국농무부(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는 식물육종을 가능케하는 유전자편집 기술을 규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29일(현지시간) 성명서를 통해 밝혔다.

과거 오바마 정부는 안전성 이슈로 유전자편집을 한 식물을 규제했지만, 트럼프 당국은 "위험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다만 이전에도 USDA는 대부분의 유전자가위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유전자재조합식품(GMO)의 범주에 포함시키지는 않았다.

Sonny Perdue 장관은 성명서에서 USDA는 유전자편집과 같은 새로운 육종기술로 생산된 식물을 규제하거나 규제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단 식물해충을 이용하는 등 육종식물에서 병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CRISPR을 포함한 최신 유전자편집 기술은 식물에 새로운 형질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Perdue 장관은 "이러한 접근법으로 USDA는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 범위에서 혁신을 허용하고자 한다"며 "동시에 소비자들에게 우리가 규제책임에서 벗어나 있지 않음을 명확히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식물번식의 혁신은 영양가치를 높이고 가뭄과 질병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며 영양가치를 올리고 알레르기 유발 항원(allergens)을 제거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개정안이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CRISPR 기술은 이미 농업분야에서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품종개발을 가능케 하는 기술로써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신품종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농산업의 대표기업은 몬산토(Monsanto)로 시가총액 514억달러(29일 기준) 규모의 글로벌기업으로 현재 전체 종자시장의 43%, 주력 사업분야인 생명공학 작물의 경우 전세계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2016년 매출은 150억달러(약 18조원)로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는 곡물 품종 중 40% 이상이 몬산토가 개발했거나 종자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몬산토는 지난해 8월 국내 바이오기업인 툴젠이 가진 CRISPR 유전자가위 원천 특허에 대한 글로벌 라이선싱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몬산토는 식물 분야에 대한 CRISPR 특허의 비독점적 글로벌 통상실시권을 이전한 것으로 툴젠은 몬산토로부터 기술사용에 대한 선급금 및 개발단계별 마일스톤, 제품판매에 대한 로열티 등을 받게 된다. 몬산토는 툴젠의 유전자가위 특허를 옥수수, 콩, 면화 등 몬산토의 주요 작물 개발에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듀폰(DuPont)은 가공식품, 접착제, 고광택 종이와 같은 일상품에 사용되는 다당류인 아밀로펙틴(amylopectin)만으로 구성된 전분을 함유하는 찰옥수수를 개발하였다. 듀폰은 CRISPR 기술을 이용한 찰옥수수의 상업화와 다양한 작물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밖에도 Calyxt은 콩, 밀, 감자 등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플랫폼을 가진 스타트업이 있으며, 기업외에도 대학에서의 연구개발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각국의 농축산물에 대한 기준을 보면 캐나다는 최종 산물이 새로운 형질을 가지는가의 여부로 GMO를 규제한다. 호주는 2013년 호주·뉴질랜드식품표준청에서 간단한 유전자의 삭제가 일어난 신기술 작물은 GMO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아르헨티나는 2016년 사례별로 검토를 진행할 것으로 결정했다. 현재 국내는 농산물 분야에서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적용기준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