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인사이트, '자카피' 급성 GVHD 3상서 "ORR 개선"

입력 2019-10-21 10:50 수정 2019-10-21 10:50

바이오스펙테이터 이승환 기자

JAK 신호경로 억제해 골수관련 세포기능 조절하는 '자카피(Jakafi)', 스테로이드 불응성 급성 이식편대숙주병 환자 임상3상서 ORR 개선 "종결점 충족"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아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급성 이식편대숙주병(acute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환자에게 JAK1/2 억제제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인사이트(Incyte Corporation)는 스테로이드-불응성 급성 이식편대숙주병 환자에게 '자카피(Jakafi, 성분명: ruxolitinib)'를 투여한 임상3상(REACH2, NCT02913261)에서 전체반응률(overall response rate, ORR)을 개선해 종결점을 충족했다고 지난 1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노바티스(Novartis)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REACH2 연구는 310명의 스테로이드-불응성 급성 이식편대숙주병 환자에게 자카피 10mg을 하루 2번 경구 투여했다. 비교그룹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연구자가 선택한 최적 치료제(best available therapy, BAT)가 투여됐다. 28일간 임상시험을 진행한 결과, 자카피 투여그룹의 전체반응률이 비교그룹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안전성 문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인사이트는 이번 연구의 자세한 결과를 향후 학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이식편대숙주병은 골수, 조혈모세포 등을 이식하면서 생겨난다. 일반적으로는 이식 수여자의 면역세포가 이식세포를 공격하며 면역반응이 나타나지만, 이식편대숙주병은 다르다. 이식편대숙주병은 오히려 이식 공여자로부터 받은 세포가 이식 수여자의 몸을 비자기(non-self)세포로 여기고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이식 후 100일 이전에 이식편대숙주병이 생겨나면 급성, 100일 이후에 나타나면 만성으로 분류한다. 이식 수여자의 면역력 약화로 폐렴, 간염, 위장관염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한 감염증상이 나타난다.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 발진이 나타나며 진피와 표피 사이가 갈라지고 물집이 생긴다. 간질환을 유발하는 경우 간수치가 증가하고 황달이 생겨나는 등 염증의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현재는 스테로이드제 투여로 이식편대숙주병 환자의 면역반응을 낮춘다. 그러나 스테로이드에 반응하는 환자더라도 장기간, 다량 투여할 수 없다. 과도하게 스테로이드를 투여할 경우 부신(adrenal gland) 위축과 함께 쿠싱증후군(chshing syndrome)이 나타난다. 뇌하수체의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이 정상보다 지나치게 많이 합성되면서, 성장지연, 골괴사, 골감소증, 골다공증, 상처 치유 억제, 위궤양 고혈당, 고혈압 등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스테로이드 불응성 이식편대숙주병 환자의 경우 사망률이 약 70%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동안 스테로이드 불응성 환자들에게 높은 반응률을 보이는 치료제는 없었다. 다행히 지난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임상2상(REACH1, NCT02953678) 결과를 근거로 12세 이상 및 성인 스테로이드 불응성 급성 이식편대숙주병 환자에게 자카피를 투여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28일간 자카피를 투여한 REACH1 연구에서 스테로이드 불응성 급성 이식편대숙주병 환자에게 전체반응률 57%, 완전반응률(complete response, CR) 31%를 보였다.

JAK1/2 억제제 자카피는 골수섬유증(myelofibrosis) 치료제로 2011년 11월에 FDA로부터 승인받았다. 골수섬유증은 골수의 비정상적인 반응 때문에 혈액세포 생산을 막고 간과 비장을 증대시킨다. 자카피는 JAK 신호경로를 억제해 사이토카인(cytokine) 수용체 기능을 조절한다. 골수의 비정상적인 기능을 조절해 골수섬유증 환자의 비장 크기를 줄이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 확인됐다. 자카피는 골수의 기능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혈액암이나, 염증질환 치료에도 사용하고 있다.

현재 인사이트는 중추연구(pivotal trial)로 진행하는 REACH3(3상, NCT03112603)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REACH3 연구결과는 2020년 중으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인사이트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