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

입력 2025-04-21 13:38 수정 2025-04-21 13:38

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AACR 2025 초록]기존 AML, ACC 이어 고형암서 ‘PIN-5018’ 효능평가 비임상 데이터 발표.."FDA에 1상 IND 제출완료"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

표적단백질분해약물(TPD) 개발 바이오텍 핀테라퓨틱스(Pin Therapeutics)는 오는 4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CK1α 분자접착 분해약물(molecular glue degrader, MGD) ‘PIN-5018’의 비임상 데이터를 발표한다고 21일 밝혔다.

핀테라퓨틱스는 이번달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PIN-5018의 임상1상 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핀테라퓨틱스는 1일1회 경구투여하는 약물로 PIN-5018을 개발하고 있다.

이번 AACR에서는 PD-(L)1 면역항암제가 미미한 약물반응을 나타내는 MSS(microsatellite stable) 대장암 치료제로서 가능성을 평가한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MSS 타입은 전체 대장암의 약 80%를 차지하고, MSI(microsatellite instability) 타입과 달리 치료옵션이 제한적이다. MSS 대장암 환자는 화학항암제와 표적치료제(베바시주맙, 세툭시맙, KRAS G12C 저해제 등) 등을 처방받지만, 약물 반응률이 낮고 반응지속기간이 짧아 새로운 치료옵션이 필요한 실정이다.

PIN-5018은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계열의 효소인 CK1α(casein Kinase 1 alpha)에 선택성을 가지는 분자접착제 기전의 약물(selective CK1α inhibitor)이다. 핀테라퓨틱스에 따르면 CK1α는 세포주기 조절, DNA 복구, 면역 반응 등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하고, 암의 주요 생존경로(p53, Wnt 신호전달 등)와도 관련이 있다. PIN-5018은 CK1α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해 암세포의 성장, 생존을 억제하는 기전이다.

앞서 핀테라퓨틱스는 급성골수성백혈병(AML)과 선양낭성암(adenoid cystic carcinoma, ACC) 치료제로 PIN-5018의 효능을 평가한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핀테라퓨틱스는 고형암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2D 또는 3D 인비트로(in vitro) 효능 평가를 진행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장암을 선정했다.

이번 AACR에서 핀테라퓨틱스는 MSS 대장암에서 인비트로 및 인비보(in vivo) 효능을 테스트한 결과를 발표하고, 환자 선별을 위한 약물반응성 예측 약력학적(PD) 바이오마커(biomarker mutation condition)를 찾은 데이터도 공개한다. 또한 PIN-5018과 표준치료제(SoC)를 병용투여할 가능성도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