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본문
노바티스, ‘애시미닙vs보술리프’ CML 3상 "긍정적”
입력 2020-08-31 13:02 수정 2020-08-31 13:02
바이오스펙테이터 서일 기자
노바티스(Novartis)는 성인 만성 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id leukaemia, CML)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ASCEMBL 임상3상(NCT03106779) 1차 분석에서 ‘애시미닙(asciminib, ABL001)’이 기존의 1차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보술리프(bosulif, bosutinib)’보다 더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고 지난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ASCEMBL은 이전에 2개 이상의 티로신-카이네이즈 억제제(Tyrosine-kinase inhibitors, TKIs)로 치료를 받은 전력이 있는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만성 골수성백혈병(Ph+ CML-CP)을 앓고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24주에 경구 치료(oral investigational treatment) 약물인 애시미닙과 화이자(Pfizer)의 보술리프를 비교한 임상3상 연구다. 티로신-카이네이즈에 의한 잘못된 신호전달로 인해 세포가 분화하는 것을 차단하는 표적치료요법인 TKI 타겟 치료 요법을 시도했지만, TKI표적치료요법에 대해서 저항성(resistance)이나 불내성(intolerance)을 보인 환자들이 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노바티스의 발표에 따르면 임상 연구 1차 분석 결과, 애시미닙이 보술리프 대비 주요 분자적 반응(major molecular response, MMR)에서 1차 충족점을 충족시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노바티스는 BCR-ABL의 ABL myristoyl pocket을 특정하게 표적화하는 STAMP 억제 기작을 통해 애시미닙이 만성 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 CML)의 후기 치료 라인(later treatment lines)에 있어 저항성과 불내성을 해결하는 주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ASCEMBL의 긍정적 결과에 이어, 노바티스는 추가적으로 만성 골수성백혈병 치료 초기 치료 단계(earlier lines of therapy)에서의 애시미닙을 평가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만성 골수성백혈병은 체내에서 유해한(cancerous) 백혈구를 생산하는 암의 한 종류인데, 대부분의 만성 골수성백혈병 환자는 만성 백혈구를 증식시키는 필라델피아(Philadelphia, Ph)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필라델피아 염색체는 9번 염색체의 ABL유전자와 22번 염색체의 BCR유전자의 전위(chromosome translocation)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같은 현상은 비정상적으로 작은 22번 염색체를 만들어 만성 골수성백혈병의 원인이 된다.
노바티스가 이전에 제시한 Ph+CML-CP환자를 대상으로 ATP-competitive TKI를 병행 투여한 애시미닙 임상1상 연구에 따르면, 48주까지 기준선에서 BCR-ABL1 국제 척도(international scale, IS)를 달성하지 못한 환자들은 [IS]<1%였고, 60%의 환자(9/15)는 애시미닙+이마티닙(imatinib) 암에서 분자 반응<1%을 보였다. 43%(6/14) 및 56%(5/9)환자는 애시미닙+니로티닙(nilotinib) 및 애시미닙+BMS의 다사티닙(dasatinib) 암에서 분자 반응<1%를 달성했다. 48주까지 기준선에서 MMR이 없는 evaluable 환자에서 42%(8/19)는 54.6주의 중간 치료 노출로 애시미닙+이마티닙으로 MMR을 달성했으며, 31%(4/13)의 애시미닙+니로티닙 환자와 36%(5/14)의 애시미닙+다사티닙 환자는 각각 MMR을 달성했다.
애시미닙+이마티닙을 복용한 환자의 가장 흔한 AEs는 메스꺼움(32%), 리파아제 증가(20%), 복통, 말초 부종 및 구토(각각 16%)였고 애시미닙+닐로티닙을 복용한 환자 중 가장 흔한 AEs는 근육통(35%), 리파아제 증가(29%), 아밀라제 증가, 피로 및 소양증(각각 24%)이었다. 애시미닙+다사티닙을 복용한 환자 중 가장 흔한 AEs는 리파아제 증가(35%), 설사, 두통 및 메스꺼움(각각 18%)으로 나타났다.
ASCEMBL 연구 결과는 추후 개최될 학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