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JW중외, ‘리바로’ 혈액투석환자 LDL-C↓ “연구자 임상”

입력 2023-03-16 13:12 수정 2023-03-16 13:12

바이오스펙테이터 신창민 기자

日 준텐도대 연구자주도 임상..스타틴 약물 리바로, 이상지질혈증 동반 혈액투석환자서 LDL-C↓..1차종결점 사망·심근경색 개선은 실패..‘혈액 정화’ 논문 게재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16일 이상지질혈증을 앓고 있는 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리바로(Livalo, pitavastatin)’의 연구자주도 임상에서 지질개선 효과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자주도 임상결과는 지난 1월 국제학술지 ‘혈액 정화(Blood Purification, IF: 3.348)’ 온라인판에 게재됐으며, 하마다 치에코(Chieko Hamada) 준텐도대 의대(Juntendo University) 교수 연구팀이 진행했다.

연구팀은 일본에서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을 앓고 있는 만성 혈액투석(chronic hemodialysis) 환자 848명을 모집해 리바로(426명), 표준 식이요법(422명) 등 2개 환자 그룹으로 배정했으며 약 37개월간 임상을 진행했다. 임상의 1차종결점은 사망(all-cause mortality)과 심근경색(nonfatal myocardial infarction) 발생이었다.

연구팀은 이상지질혈증과 관련된 생물학적 데이터 확인을 위해 혈중 LDL 콜레스테롤(LDL-C) 수치를 측정했다. 평가결과 투약 12개월 후부터 48개월까지 리바로 복용군의 LDL-C 수치가 대조군대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리바로 복용군의 LDL-C 수치는 기준선(baseline) 당시 평균 108.4mg/dL였다가 12개월 후 79.8mg/dL로 낮아졌다. 대조군의 수치는 109.0mg/dL에서 98.0mg/dL으로 소폭 떨어지며 두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다음으로 효능 평가를 위해 평균 36.9개월의 추적관찰(follow-up) 기간동안 사망자 수를 확인한 결과 리바로 복용군에서 총 38명, 대조군에서는 총 52명인 것으로 기록됐다. 급성 심근경색 환자 수는 리바로와 대조군에서 각각 20명, 27명 발생했다. 그러나 1차종결점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분석결과(unadjusted Kaplan-Meier curves modeling) 리바로 복용군과 대조군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p=0.065). 연구팀은 환자들의 성별, 나이, 투석기간, 고혈압과 당뇨병 유무, 흡연 등 배경적요인(background factor)을 고려한 통계적 분석(adjusted Cox proportional hazard curve modeling)에서는 두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됐다고 설명했다(p=0.007).

연구팀은 결론적으로 리바로 사용을 통한 LDL-C 감소가 환자들의 사망이나 심근경색 발생을 억제하는데 효과를 주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선행연구들에 기반해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위험요소와 심장사건(cardiac event) 이력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스타틴계 약물로 지질관리를 지속하는 게 사망과 심혈관사건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임상 데이터로 이상지질혈증을 동반한 만성 혈액투석환자에게 피타바스타틴을 투여하는 치료가 표준치료요법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했다”며 “학술적 근거를 바탕으로 리바로, 리바로젯, 리바로 브이 등 리바로 제품군에 대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리바로는 일본 제약사인 코와(Kowa)와 닛산(Nissan)화학이 공동개발한 이상지질혈증 치료제로, JW중외제약은 2003년 국내 시장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뒤 임상 등을 거쳐 지난 2005년 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