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입력 2025-09-11 06:59 수정 2025-09-11 09:04

바이오스펙테이터 신창민 기자

이 기사는 '유료 뉴스서비스 BioS+' 기사입니다.
[WCLC 2025] 소세포폐암 첫 글로벌 데이터 “도출”, ORR 76.3%, mPFS 6.8개월, 긍정적 中2상과 “유사한 효능”, 바이오엔텍-BMS 소세포폐암 ‘선두 이어가’..‘B7-H3 ADC’ 병용 임상도 시작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출처=IASLC

바이오엔텍(BioNTech)이 PD-L1xVEGF 이중항체로 진행중인 소세포폐암(SCLC) 글로벌 임상2상의 첫 데이터 판독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바이오엔텍이 올해초 파트너사였던 중국의 바이오테우스(Biotheus)를 아예 인수하면서 PD-L1xVEGF 항체 ‘푸미타믹(pumitamig, BNT327)’의 모든 권리를 확보한 이후 첫 글로벌 데이터를 도출하게 됐다.

바이오엔텍은 선두인 서밋 테라퓨틱스(Summit Therapeutics)와 달리 소세포폐암을 리드 적응증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지난 3월 중국에서 진행한 긍정적인 소세포폐암 임상2상 데이터를 발표한 바 있다. 이후 바이오엔텍은 BMS(Bristol Myers Squibb)와 푸미타믹에 대한 111억달러 규모의 공동개발 딜을 이끌어냈다.

이번 소세포폐암 1차치료제 세팅에 대한 글로벌 2상의 중간분석 결과,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푸미타믹은 전체반응률(ORR) 76.3%,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 6.8개월을 보였다. 이는 지난 3월 중국 2상 결과와 유사한 수준이며, 현재 표준치료제(SoC)인 PD-L1 항체와 견주어 경쟁력 있는 데이터로 업계의 평가를 받았다. 바이오엔텍은 현재 푸미타믹으로 글로벌 임상3상도 진행중인 상황이다. 또한 최근 B7-H3 항체-약물접합체(ADC) 병용투여를 평가하는 초기임상도 시작하면서 소세포폐암에서 입지를 다지기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계속>

추가내용은 유료회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시면 로그인 해주시고, 회원가입을 원하시면 클릭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