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사본문

다케다도, AZ 공동개발 ‘α-syn 항체’ MSA 2상 “실패”

입력 2025-11-04 09:42 수정 2025-11-04 09:42

바이오스펙테이터 신창민 기자

이 기사는 '유료 뉴스서비스 BioS+' 기사입니다.
연이은 업계 α-syn 실패속, 다케다도 다계통위축증(MSA) 2상서 증상개선 ‘실패’, AZ와 4억弗 딜 8년만에 결국 “프로그램 중단”

다케다도, AZ 공동개발 ‘α-syn 항체’ MSA 2상 “실패”

다케다(Takeda)가 결국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공동개발을 진행해온 알파시누클레인(α-syn) 항체의 개발을 중단한다.

다케다는 지난 2017년 아스트라제네카와 4억달러 규모로 파트너십 딜을 체결해 α-syn 분야에 본격 진입했으나, 8년여만에 임상2상에서 고배를 마시며 프로그램 개발을 포기하게 됐다.

다케다는 해당 파트너십 α-syn 항체인 ‘TAK-341(MEDI1341)’을 파킨슨병(PD), 다계통위축증(MSA) 치료제로 개발을 시도해왔다. 다케다와 아스트라제네카는 TAK-341이 응집된 형태의 α-syn 뿐만 아니라 단량체를 포함한 모든 형태를 타깃해 기존의 α-syn 항체의 효능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왔다.

그러나 다케다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올해 2분기(다케다 회계연도 기준) 실적발표 자리에서 α-syn 항체 TAK-341의 개발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계속>

추가내용은 유료회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시면 로그인 해주시고, 회원가입을 원하시면 클릭 해주세요.